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앙정보처리학원31

Java 8 API https://docs.oracle.com/javase/8/docs/api/ 2022. 11. 8.
9일차. 생성자와 기본생성자(Default Constructor) Class는 무조건 생성자를 1개 이상 보유하고 있어야합니다. 그동안 우리가 따로 생성자를 생성해주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별도로 선언한 생성자가 없다면, 시스템에서는 컴파일 단계에서 자동으로 매개변수값이 없는 생성자를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 이렇게 매개변수값이 없는 생성자를 우리는 기본생성자(Defalut Constructor) 라고 칭합니다. 기본생성자의 문법은 기본적으로 Class명과 동일하게 적어주는게 원칙입니다. Soccer라는 클래스에서 기본 생성자를 선언해주려면 Soccer() { } 이런식으로 작성하는게 기본 생성자 문법입니다. 그리고 호출은 메인메소드가 있는 클래스에서 Soccer sc = new Soccer(); 이렇게 선언해주면 객체가 생성되고 필드안에 값이 지정되있다면 sc 변수가 해.. 2022. 11. 4.
7일차. OOP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Class, Field, Method 오늘 배운 내용은 오전엔 이차원 배열.... 오후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시작인 클래스. 필드. 메소드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음... 이차원배열은 아무리 해도해도 잘 안되는건 왜인지... 강사님이 퀴즈도 내주시고 자세하게 설명은 해주셨으나 배열만큼은 정말 머리에 잘 안들어오는거같네요. 개인적으로 이차원배열에 매달리는거보다는 클래스. 메소드, 필드 정리해서 이해하고 넘어가는게 앞으로 더 도움이 많이 될거라고 생각했기때문에 이차원배열은 주말에 따로 시간내서 다시 복습을 하는걸로 노선을 정했습니다. Class(클래스) 란? 클래스는 쉽게 말하면 설계도이자, 붕어빵을 예로들면 붕어빵틀 입니다. 여기서 붕어빵 틀이 클래스라면, 붕어빵을 만드는 사람, 붕어빵, 팥.. 등등이 객체, 인것이고 필드는 객체의 고유 데이.. 2022. 11. 2.
6일차(2). 이차원배열 음... 여기서부터는 아주 이해하기가 어렵더라구요. 수학의 "행렬" 이랑 같은 방식이라고 하는데 전 워낙 수학 뿐만 아니라 공부를 손놓은지 오래 되서... 무조건적으로 외워보자! 라는 식으로 듣고 있는 부분입니다. 이차원 배열을 선언해주고 그 안에 값을 넣어줬습니다. scores라는 배열 변수에 {100,35,92,85,10}과 {98,99,85,10,50} 이라는 배열 2개를 넣어주었습니다. 이렇게 배열이 2개 이상이 들어간걸 이차원배열, 혹은 다른곳에서는 다차원배열이라고 하는데 전 부르기 쉽고 이해하기 쉬워서 이차원배열이라고 말하도록 하겠습니다. 밑의 for문은 scores 배열에 들어있는 이차원배열의 모든 인덱스를 차례차례 꺼내서 출력해주는 코드입니다. 원래는 줄도 바꿔주고 좀 그럴싸하게 출력하고 .. 2022. 1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