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 [Study/Tip] - 실무에 유용한 리눅스 기본 명령어
실무에 유용한 리눅스 기본 명령어
현업에서 일을 하다보면 심심치않게 리눅스 환경에서 명령어를 날릴일이 많다. 전혀 없을줄알았는데 의외로 많이 사용된다. 이참에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정도는 정리해놓고 나중에 참고하면
yat-ong.tistory.com
이 포스팅에서 파일 개수 체크한다고 wc라는 명령어를 말한적이 있다.
근데 왜 파일 개수를 세는데 약어가 wc인거지...? 무슨 count인거같은데 w는 뭐지...? 라는 뜬금없는 궁금함에 검색해보았다.
사실 파일 개수를 세는 명령어가 아니였다.
wc는 word count의 약자이다. 파일의 개수를 세는것이 아닌, 입력받은 텍스트의 줄(line), 단어(word), 문자(character) 또는 바이트(byte) 수를 세는 명령어였다.
그냥 저걸로 파일 개수 센다길래~ 쓰고있었는데... 검색해보니 아니였던것.
근데 그럼 어떻게 파일개수를 셀때 저 wc라는 명령어로 파일 개수를 count 할수 있는것인가?
답은 바로 함께 사용되는 find 명령어와 결합되어 사용되면, 줄(line)의 wc가 곧 파일의 개수가 되는것이였다.
예시로 살펴보자.
find . -name '*yyyymmdd*' -type f //타입이 파일이며, 파일명이 yyyymmdd 문자열을 포함하는 검색명령어, 현재 디렉토리 포함 하위 디렉토리에서 찾는다.
이 명령어는 모든 파일의 경로를 한줄씩 출력하게 된다.
이 결과를 wc -l로 넘기면 바로 모든 파일을 한줄씩 출력하게 되니, 곧 한줄당 하나의 파일, 즉 줄의 개수 = 파일 개수가 되는것이다.
이렇게 무심결에 사용하고 있는 명령어들을 하나씩 깊게 알아가는것도 내 지식 향상에 도움이 많이 된다.
'Study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파일 이동시키기(복사 아님, 이동만) (0) | 2025.05.22 |
---|---|
실무에 유용한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 2025.05.16 |
SVN이란? (1) | 2024.09.09 |
Spring Loaded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4) | 2024.08.23 |
DTO와 VO의 개념. 그리고 차이 (0) | 2024.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