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파일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mv 명령어가 필요하다.
mv [옵션] [이동시킬파일명] [이동될 경로]
현재 경로에서 예를들어 test1.txt파일을 /data/testFolder로 이동시킨다고 가정하면 이렇게 될것이다.
mv test1.txt /data/testFolder
물론 여러개의 파일을 동시에 이동시키는것도 가능하다. 파일이 여러개긴 한데 많지 않을경우에는 파일명을 다 나열해주면 된다.
mv test1.txt test2.txt /data/testFolder
그렇지만 우린 실무에서 사용하다보면 특정 몇개만 옮기는 일보다는 폴더단위, 혹은 특정 패턴의 파일들 여러개를 옮기는 작업을 하게 될것이다. 언제 하나하나 1~5개씩 옮기고 앉아있나?
현재 폴더에서 모든 파일을 이동시키는건 다음과 같다.
mv * /data/testFolder
*를 이용하면 현재 경로의 모든 파일을 /data/testFolder로 이동시킨다.
그렇다 모든 파일을 다 옮길수 없다. 때로는 특정 확장자. 혹은 특정 이름이 포함된 파일들만 옮겨야하는 상황이 있을것이다(거의 이경우)
mv *.csv /data/testFolder
mv *20250521* /data/testFolder
위에는 확장자가 csv로 된 모든 파일을 이동시키는거고
아래는 파일명중에 20250521이 포함된 파일들만 이동시키는것이다.
마지막으로 옵션 명령어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f: 이동 위치에 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강제로 덮어쓰기
-i: 이동 위치에 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덮어쓰기 여부를 묻기
-n: 이동 위치에 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덮어쓰지 않음
-b: 이동 위치에 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백업 파일 생성
-v: 이동 진행 상태를 출력 (verbose)
-u: 원본 파일이 대상 파일보다 최신인 경우에만 이동
주로 사용되는 명령어는 -i 이다. 상황에 따라서 알맞게 옵션 명령어를 부여하여 파일 손실을 방지하는것이 좋다.
'Study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wc가 파일 개수를 셀때 사용한대매...? 근데...? (3) | 2025.05.21 |
---|---|
실무에 유용한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 2025.05.16 |
SVN이란? (1) | 2024.09.09 |
Spring Loaded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4) | 2024.08.23 |
DTO와 VO의 개념. 그리고 차이 (0) | 2024.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