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86

Spring RequestMapping과 GetMapping 현재 Spring 버전은 3.1.1 버전이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는 @(Annotation)을 이용하여 URL Mapping을 설정해줄수있다. 기존의 JSP에서는 Properties라는 파일을 하나 생성해서 그걸 Web.xml에서 URL Mapping을 해달라고 설정을 별도로 해줬어야하는데 스프링은 @을 이용하여 처리해줄수있다. 많은 Annotation이 있지만 오늘은 URL 주소 Mapping에 사용되는 @RequestMapping과 @GetMapping 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컨트롤러 역활을 하는 클래스. 따라서 @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붙여주자. @Controller public class Test1Controller { //RequestMapping의 속성 //value="요청주소".. 2023. 2. 9.
Spring의 Bean객체 설정방법 스프링은 매번 중복으로 생성되는 객체를 따로 별도로 구분할수있다. Bean을 이용하여 DTO나 Service 클래스같은 객체 생성이 반복되는 코드들을 Bean으로 설정하고. 필요할때 가져다 쓰기만 하면되는것이다. Spring 프로젝트를 생성하였다면. Servlet-Context.xml 파일이 있을것이다. 이곳에서 각종 설정들을 추가해줄수있는데. 이러한 문법으로 등록을 해줄수 있다. empDAO라는 클래스를 bean으로 등록하기위해서 class에 전체경로를 적어주었고 id에 empDAO를 정해주었다. 이렇게 등록을 해주면 Spring에서 프로젝트를 읽어올때 해당 EmpDAOImpl의 객체를 알아서 생성해준다 EmpDAOImpl empDAO = new EmpDAOImpl(); 즉, 이와같은 코드들을 각 서비.. 2023. 2. 8.
Spring Project Pom.xml을 이용한 라이브러리 설치방법 기존에 JSP나 Java에서는 직접 jar파일을 다운로드받아서 WebContent - WEB-INF 폴더안의 lib 폴에 해당 라이브러리 파일을 붙여넣어주는 방식으로 라이브러리를 추가했었다. 하지만 Spring 프로젝트는 Pom.xml안의 내부에 를 이용하여 손쉽게 라이브러리가 추가 가능하다. 먼저 Pom.xml을 열어보자. 이 Pom.xml 파일은 Spring 프로젝트의 수많은 설정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XML 파일이다. 여기에서 로 시작하는 부분을 찾아주자. 이미 기존에 그 안에 로 시작되고 닫는 수많은 라이브러리가 이미 들어가있을것이다. 여기에 우리가 개인적으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줄수있다. 그렇다면 먼저 우리가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찾으러가야한다. 먼저 Maven Repository로 이동하자... 2023. 2. 7.
Tomcat을 이용하여 war파일 단독배포하기 Tomcat 서버를 이클립스를 통하지않고 단독으로 실행하여 프로젝트를 실행할수있다. 먼저 Tomcat이 어디에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해보자. 별도로 경로를 지정해준게 아니라면 C드라이브에 Program files에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Tomcat 9.0 에 설치가 되어있을것이다. 해당 폴더에 들어가보면 bin 폴더에 startup과 shutdown 프로그램이 두개 보일것이다. startup과 shutdown은 말그대로 서버시작과 서버 종료를 의미한다. 다음은 이제 포트번호를 미리 확인해야한다. Tomcat 폴더에 보면 conf 라는 폴더가있다. 들어가보면 server.xml 파일을 실행해보자 해당 포트번호를 기억하자. 우리가 localhost:포트번.. 2023.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