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tudy226

Websqare5 DataCollection중 dataMap의 데이터를 확인해보자. 웹스퀘어5에서는 가장 중요한 키 포인트가 Datacollection과 Submission이라고 생각한다. DataCollection은 데이터를 담을 '객체'들을 선언하는 곳이라고 생각하면 될거같고. Submission은 DataCollection으로 담은 데이터들을 서버단으로 전송하며, 서버단에서 처리후 Return되는 값을 Callback 을 통해 처리하거나, 혹은 Grid와 연동하여 값을 표현해준다. 더 쉽게 표현하기 위해 예를들어 일반적인 게시판 형식을 예로 들어보자면 DataCollection = Parameter를 통해 검색 조건들을 DataMap 형태로 설정, 혹은 DataList 형식의 서버단 호출후 값을 매핑할 데이터를 선언해둠. Submission = 서버단 호출, 그리고 DataMap을.. 2024. 8. 28.
Spring Loaded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Apache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이다. 간단하게 이 라이브러리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Java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의 개발과정에서 코드 변경시 애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지않고도 변경 사항을 즉시 반영할수 있게 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이걸 뭐 더 줄이면 "핫스왑" 이라고 많이들 표현한다. 코드 변경에 대해 실시간 적용 이라고 이해하면 쉬울거같다. 그럼 바로 적용해보자. 필자는 현재 Eclipse 환경에서 개발을 하고 있기때문에 이 포스팅은 Eclipse 기반으로 포스팅이 되었다는점을 참고 하길 바란다. 프로젝트 우클릭 -> RUN  AS -> Run Configrations에 들어가자. Local에서 프로젝트 구동시 실행 관련 설정을 할수 있는 곳이다.   그럼 좌측에 Tomcat 서버에 할.. 2024. 8. 23.
DTO와 VO의 개념. 그리고 차이 개발을 하다보면 DTO니 VO니 다양하게 사용하고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정확히 둘은 어떤 차이점이 있으며 CASE별로 어느걸 사용해야될지 에 대해서 아는사람은 많지 않을것이다. 필자 또한 DTO로 되어있으면 DTO로 사용하고 VO로 되어있으면 VO로 사용하는데.. 사용법도 동일하고 객체로 주고받다보니 이놈이 이놈같고 저놈이 저놈같아서 그냥 아무 생각없이 사용하고 있던 사람중의 한명이다. 갑자기 궁금해져서 정확하게 DTO와 VO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그리고 어떤 CASE에서 사용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싶어졌다. DTO (Data Transfer Object) DTO의 목적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객체로, 주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여러 개의 데이터를 묶어서 한 번에 전송하기.. 2024. 8. 22.
Oracle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DD(Data Dictionary) DD는 Data Dictionary의 약자로 데이터 사전이다. 오라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DD가 있는데. 여기서 DD는 쉽게 말하자면 정말 '사전' 이다.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객체, 사용자, 권한 및 기타 메타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 이며,  데이터 사전은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보안, 성능 최적화 등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 자료인셈이다. 데이터 사전의 주요 기능메타데이터 저장: 데이터 사전은 테이블, 뷰, 인덱스, 시퀀스, 프로시저, 사용자 등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서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는 객체의 구조와 속성을 쉽게 확인할수 있다.사용자 및 권한 관리: 데이터 사전은 사용자 계정, 역할, 권한에 대한 .. 2024.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