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evelopment5

DTO와 VO의 개념. 그리고 차이 개발을 하다보면 DTO니 VO니 다양하게 사용하고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정확히 둘은 어떤 차이점이 있으며 CASE별로 어느걸 사용해야될지 에 대해서 아는사람은 많지 않을것이다. 필자 또한 DTO로 되어있으면 DTO로 사용하고 VO로 되어있으면 VO로 사용하는데.. 사용법도 동일하고 객체로 주고받다보니 이놈이 이놈같고 저놈이 저놈같아서 그냥 아무 생각없이 사용하고 있던 사람중의 한명이다. 갑자기 궁금해져서 정확하게 DTO와 VO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그리고 어떤 CASE에서 사용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싶어졌다. DTO (Data Transfer Object) DTO의 목적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객체로, 주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여러 개의 데이터를 묶어서 한 번에 전송하기.. 2024. 8. 22.
Eclipse(이클립스)의 Console을 다른 텍스트 파일로 출력해보자. 사실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인 세팅인거같지만 지금 업무하는곳에서 다른 개발자가 쓰는걸 보고 괜찮아보여서 나도 해봐야겠다 싶었다. Local에서 개발하다보면 Console창을 보게되는 일이 상당히 많은데. 이때 다른 편집기 파일로 Console을 출력하면 복사 붙여넣기에도 수월할 뿐더러, 그 좁아터진 이클립스 Console창에서 해방되어 좀더 가독성 있게 Log를 살펴볼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로 설정해보자. 이클립스에서 Run - Run Configurations에 들어가자.  이후 서버를 선택후 Common 탭을 클릭   그럼 하단에 Output File을 통해 폴더를 지정하던 파일을 지정하던 해서 미리 준비된 txt파일을 찾아 경로를 지정해주자. 필자는 txt파일로 저장후 해당 txt파일을 Notep.. 2024. 8. 14.
ERP란 무엇인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기업의 다양한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입니다. ERP 시스템은 인사, 재무, 생산, 공급망, 고객 관계 등 여러 부서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 결정을 지원합니다. ERP의 주요 기능  1. 재무 관리 회계, 예산, 재무 보고, 자산 관리 등을 포함하여 기업의 재무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합니다. 모든 재무 데이터를 통합하여 정확한 재무 분석과 보고가 가능하게 합니다.  2. 인사 관리 인사 정보, 급여, 직원 평가, 채용, 교육 관리 등을 통해 인사 관련 프로세스를 자동화합니다. 인사 데이터를 중앙에서 관리하여 인력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생산 관리 생산 계획, 자재 .. 2024. 8. 13.
고도화란 무엇인가 2024.08.07 - [일상/알쏭달쏭 IT용어] - As-is와 To-be As-is와 To-be현업에서 일하다보면 수없이 듣게되는 단어 As-is와 To-be, 나또한 정확한 의미를 모르고 듣고 넘긴때가 많았으며, 지금도 딱 들었을떄 뭘 의미하는지 난해한 단어인거같다. As-is 는 '현재상태' 이yat-ong.tistory.com 앞서 As-is와 To-be라는 단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고도화란 무엇인가? 고도화란?As-is의 소스코드를 참고해서 To-be형태로 발전시켜 나가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기능, 성능,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는 과정을 '고도화'라고 한다. 세상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진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들도 하루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전에 만들어놓은 소프트웨어나 어.. 2024. 8. 10.
반응형